1.

미야미즈 사당에 들어갈 때 할머니가 유달리 이 물길 건너편은 저승이라고 강조함

일단 요츠야가 저승이라고 했는데도 아노요야- 하면서 기뻐하며 건너간 건 먼저 죽은 자기 엄마를 만나러 간다는 기쁨 + 순수함의 표현.

 

2.

동양에서는 삼도천, 서양에서는 아케론 강(스틱스 등)으로 대표되는 저승의 강은 만국 공통으로 산 사람이 건너갈 수 없음

그래서 죽을 운명이었던 할머니와 요츠야는 징검다리(배)를 밟으며 건너갔고, 

산 사람인 타키는 쿠치카미자케를 놓으러 갈 때, 새벽에 마시러 갈 때 2번이나 물에 빠져 젖어가며 건너감

미츠하가 사당에서 깨어나 다시 건너올 때에는 황혼무렵으로 시간도 지나 비도 걷히고 맑은 묘사가 있었는데 그럼 징검다리를 밟고 다시 이승으로 건너오지 않았을까

그래서 이승으로 돌아오게 된거고 ㅇㅇ

 

3.

저승의 강에 있는 뱃사공(카론 등)은 노잣돈을 갖고 있지 않으면 배에 태워주지 않고, 속세로 돌아가게하거나(환생) 구천을 떠돌게 함.

그런데 좀 찾아보니 동아시아에서는 '쌀', 특히 '불린 쌀'을 노잣돈처럼 사용하기도 했음.  

 

 

한국의 예. 

 

 

 

일본의 예.

해석 : 일본에서는 삼도천의 도하요금으로써 무덤에 동전을 넣었다 ~ 망자는 유족이 준비한 지제(종이) 노잣돈을 이나 소금과 함께 봉투에 넣어 관에 부장했다.

 

 

즉, 할머니가 말했던 가장 소중한 것은 곧 미츠하(요츠하)의 반절이자, 노잣돈으로도 사용되는 일종의 불린 쌀인 쿠치카미자케.

미츠하와 요츠하, 또 의식을 관장하며 여태 봉헌해왔을 할머니는 저승의 뱃사공이 그 쌀을 노잣돈으로써 받아 저승에 가게 됨.

물론 타키 자신은 노잣돈을 내지 않았으니 살 운명인거고.

 

원래는 산 사람이 가지고 왔다갔다할 수 없는 노잣돈인 쿠치카미자케를 타키가 마시고 밖으로 나옴(미츠하의 인격으로)은 노잣돈을 저승 밖으로 가지고 왔음 또한 상징하고,

그로써 미츠하 등은 완전히 저승에서 해방됨.

 

 

 

3줄요약

1. 미야미즈 사당의 물길은 저승의 강이며, 할머니 말처럼 그 건너편 사당 구역은 저승.

2. 타키만이 물길에 빠지는 묘사가 나오는 이유는 타키는 살 운명의 사람이었기 때문

3. 노잣돈으로 사용된 쿠치카미자케를 산 사람인 타키가 마시고 저승 밖으로 나오며 미츠하 등은 저승에서 해방됨

 

 

 

2017.01.04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